스마트폰 사용과 인스턴트 식품의 확산으로 당뇨병 등 비전염성 질환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며 의료의 질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해졌습니다.
On-Device AI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된 홍복의 눈 이미지 기반 디지털 웰니스케어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편리한 건강 관리 안내와 의료 진단을 제공합니다.
자율신경계와 안구 변화
자율신경계는 뇌신경 중 가장 길고 넓게 퍼져있는 신경인 미주 신경을 통해 대부분의 내장 기관에 분포되어 있으며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을 자발적으로 조절합니다.
연수에서 시작된 미주 신경은 구심성 신경과 원심성 신경을 통해 뇌와 내장 기관 사이를 연결합니다. 미주 신경의 90%를 차지한는 구심성 신경은 몸 전체로 신호를 내보내게 되고, 다시 뇌로 되돌려 받게 됩니다. 부교감신경계을 자극하고 심장박동, 언어능력, 땀, 혈압, 소화과정, 포도당의 생산, 호흡 등을 규제하며 장기들의 출력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몸 전체에서 일어나는 몸의 변화에 대한 감각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냅니다. 구심성 신경은 망막 수용체로부터 시작되며, 시각적 정보를 망막 신경절 세포가 시신경으로 전달하고 중뇌 윗쪽의 전핵 내의 시냅스까지 전달됩니다. 뇌로 전달된 시각적 정보는 자율신경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시상과 시상하부를 거쳐 대뇌 피질에 도달되어 정보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고, 뇌로부터 시작되는 원심성 신경은 전핵과 연결된 핵을 통해 안구 운동 신경과 시신경을 거쳐 동공 내의 확장근을 통해 동공 크기를 조절합니다.
자율신경계에 연결된 다양한 내장 기관 중 홍채와 동공만이 유일하게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홍채와 동공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율신경계
▲ 눈의 해부학적 구조
암
유방암, 간암, 위암, 대장암, 뇌종양
염증
척추염, 관절염, 장염
정신질환
우울증, 정신장애, 뇌기능저하, 뇌졸증
장 질환
만성 위장질환, 과민성 대장, 대장하수, 위산과다
그 외
빈혈, 스트레스, 중풍, 고혈압, 동맥경화, 영양결핍, 고지혈증, 지방간, 비만, 알레르기, 중독, 백내장, 자궁외임신, 심장질환
17년간 개인별/연도별로 축적된
약 200만장의 홍채 영상 데이터
미국 국방부에 납품되고, 전세계 13개국에서 사용 중인
검증된 홍채인식 원천기술 적용
인물 및 풍경 사진 촬영에 특화된 기존의 카메라와 달리
정확한 진단을 위한 홍채진단 전용 카메라 자체개발